잡학다식 아키비스트의 수시 건호스. :: 칠드런 오브 맨 - 스포일러 약간?
영화.2017. 2. 9. 23:40



칠드런 오브 맨은 알폰소 쿠아론 감독의 2006년 작품입니다. 알폰소 쿠아론 감독은 위대한 유산’, ‘이투마마’, ‘해리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그리고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그래비티로 유명한 감독입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아무래도 중학교 때, 해리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를 통해서 처음 이름을 알게 된 감독 이구요. 분수대 키스신으로 유명한 위대한 유산이 알폰소 쿠아론 감독 작품이었는지는 저도 찾아보면서 알게 되었네요.

 

매우 좋은 평가를 받았음에도 흥행은 그리 좋지 않은 정도를 넘어서 완전히 망했습니다. 제작비 7600만 달러를 들여서, 전 세계 흥행이 겨우 약 7000만 달러 정도였습니다. 그다지 큰 손해는 아닌 것 같아 보이지만, 흔히 손익분기점을 제작비의 2배 정도로 보기 때문에, 칠드런 오브 맨의 경우에는 약 15000만 달러 이상을 벌었어야 수익을 낼 수 있었습니다. 그런 면에서 7~8000만 달러 정도의 손해를 보았다고 할 수 있겠네요.

 

개인적으로는, 아마 영화의 내용이나 분위기가 밝은 편이 아니고, 볼거리가 풍부한 영화도 아니어서 일반 관객들에게 크게 어필하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사실 그런 이유로 우리나라에는 극장에서 상영하지 못하고 바로 DVD로 발매 되었습니다. 제가 SF에 관심이 많아서 당시에 SF 관련 커뮤니티 등을 자주 둘러봤는데, 당시에 평가가 좋은 SF 작품이라고 몇 번 언급이 되었던 것이 어렴풋이 기억이 나네요. 해리포터 감독의 숨겨진 명작이라면서 말이죠. 그때는 제가 제대로 정보를 얻은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인류가 전부 불임이 되고 아이가 없다는 것을 인류가 전부 늙고 노인이 되었다는 설정으로 기억하고 있었습니다. 영화를 보고 나니, 그때의 기억이 좀 황당하게 다가옵니다.

 

그래도 다행히 매우 늦긴 했지만, 10년 뒤인 작년 9월 국내에서도 개봉하게 됩니다.

 

지금 와서 영화를 보면, 영화가 굉장히 앞서간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감출 수가 없습니다. 저 출산과 인구 고령화야 당시에도 많이 논의되던 사회적 문제였지만, 영화의 갑작스러운 난민 증가는, 아무래도 IS로 인한 지금의 대규모 유럽 난민 사태를 떠올릴 수 밖에 없게끔 합니다. 무대가 영국인지라, 게다가 영국이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국가를 유지하고 있다니! 브렉시트 문제 또한 안 떠올릴 수가 없죠.

 

칠드런 오브 맨을 구글이나 네이버에 검색하면 자동완성으로 롱테이크가 붙을 정도로 이 영화의 롱테이크 장면 또한 매우 잘 알려져 있습니다. 어쩌면 그래비티의 우주 롱테이크 장면은 이 영화를 통해 다져진 내공이 발현된 것이 아닌가 생각되는데요. 유튜브 등에서 제작과정을 담은 동영상 등을 찾아보면, 촬영을 위해 자동차를 이리저리 개조한 모습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초반부 폭도와의 자동차 추격 장면과, 후반부의 시가전 장면 등 그 외에도 많은 부분이 롱테이크로 촬영되어 좀 더 현실적이고 몰입감을 더해주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마치 일인칭 슈팅(FPS) 장르의 게임을 할 때 느끼는 몰입감과 비슷한 느낌이었던 것 같습니다.

 

저는 저 출산이 이렇게 무시무시한 일인 줄 몰랐습니다. 영화에서 테오의 대사를 통해 느꼈어요. ‘100년 뒤면 볼 사람도 없을 텐데 왜 모으나?’ 그 대사를 생각하니까 소름이 돋더라구요. 항상 핵폭발이나 좀비, 외계인 같은 엄청난 대재앙만 떠올렸었는데, 생각해보니 그런 것들이 없어도 인간의 수명은 한정적이란 말이죠. 다음 세대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이렇게 쓸쓸하고 무서운 일일 줄이야. 그런 점에서 칠드런 오브 맨이 그린 세계는 디스토피아적 미래가 아니라 가장 현실적인 포스트 아포칼립스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아이가 태어나지 않는다는 점만 빼면 사실 지금 현실과 별다를 것도 없네요.

 

이 외에도, ‘칠드런 오브 맨이 구축한 미래에 대해서는 흥미로운 호기심이 계속 떠오릅니다. 자살약이나, 영국 본토도 다 통제하지 못하는 정부의 모습, 그리고 맨 마지막 장면에서 좀 의문이 드는 것이, 유일하게 체제를 유지하는 국가가 영국이라면 과연 미래호는 어디서 온 걸까요? 여행도 여행증을 구해야만 다닐 수 있는 사회에서, 배가 움직인다?

 

초반부 미술관장의 호화로운 모습도 이질감이 느껴지는 부분입니다. 실체가 불분명한 인간 프로젝트도 그렇고, 철저히 통제된 사회 또한 그렇고, ‘28일 후의 영국처럼 고립된 지역이거나, 아니면 이퀼리브리엄리브리아처럼 국민들이 국가에 통제당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반전으로 다른 세계가 오히려 멀쩡하다면 그때는 브이 포 벤데타브이같은 인물이 등장하지 않을까 하는 망상도 해봤습니다. 그러고 보니 소설 ‘1984’의 작가인 조지 오웰도 영국인 이었네요.

 

봉준호 감독의 설국열차도 생각났습니다. 작 중 절대로 일어날 수 없는 일, 설국열차에서는 기후 변화, ‘칠드런 오브 맨에서는 아기 출산과 같은 일이 기적이자 희망이 되는 요소인 점. 그리고 한 때는 별반 정의롭지 않던 주인공이, 어떠한 일을 계기로 주도적으로 변하는 모습. 비슷한 유형의 장르여서 그런지 은근히 닮은 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영화에서 가장 인상깊은 장면은, 시가전이 한창인 와중에 테오와 키가 아이의 모습을 사람들에게 보여주자 군인, 민간인, 피쉬당 테러리스트 할 거 없이 경외하는 표정으로 싸움을 멈추는 모습일 겁니다. 영화의 주제가 가장 잘 드러나는 장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파괴 아닌 생명을, 전쟁 아닌 평화를 통해 우리가 잊고 있는 생명의 소중함을 되새기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품어야 한다고 말이죠.

 

엔딩 크레딧의 마지막에 나오는 ‘Shantih(샨티)’ 라는 단어는 산스크리트 어로 평화를 뜻하는 단어라고 합니다. 생명의 소중함과 평화의 의미를 다시 한 번 되새기는 시간이 되었기를 바라면서, 이만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P.S

'노예12년' '마션' '닥터 스트레인지' 등으로 요새 자주 나오는 추이텔 에지오포가 나옵니다. 선한 듯 선하지 않다는 점에서 닥터 스트레인지에서 맡은 모르도 역할과 비슷하지 않나 싶어요. 아무튼 반가웠습니다.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하 2.6 풀스피드  (2) 2017.02.17
밀양 - 생각 정리 (스포일러)  (2) 2017.02.14
걷기왕 - 스포일러  (0) 2017.02.08
족구왕  (0) 2017.02.02
불청객 - 스포일러  (0) 2017.01.31
Posted by 건호스